반응형
주식은 상승, 하락, 횡보 중 어느 하나의 추세선을 따라 움직인다. 이러한 주가의 성질을 이용해 향 후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을 추세 분석이라 한다.
1. 추세선을 이용한 매매방법
- 상승추세일 때 -> 추세선에 닿을 때마다 매수한다. 그러나 추세선 하락 이탈 시 매도한다.
- 하락추세일 때 -> 추세선에 닿을 때마다 매도한다. 그러나 추세선 상승 돌파 시 매수한다.
- 횡보추세일 때 -> 관망한다. 그러나 저항선 돌파 시 매수하고, 지지선 하락 이탈 시 매도한다.
예제: 기아보통주
위는 상승추세선이며, 매도시기는 파란색 A, B, C, D, E일때 매수하고, 빨간색 A, B, C, D, E일때 매도한다.
다만, B, C, D, E와 같이 일시적으로 추세선을 벗어낫을 경우도 있으므로 1-2일정도 지켜본 다음에 매도하는게 좋다.
2. 지지선과 저항선을 이용한 매매방법
- 저항선이란, 주가 그래프에서 주가파동의 고점과 고점을 연결한 직선이다. 이익을 실현하려는 매도세력과 추가상승을 기대하는 매수세력간의 공방으로 형성된 가격대이다. 이때 매수세력이 이기면, 저항선이 지지선으로 바뀌게 된다.
저항선 상향 돌파 -> 매수, 저항선은 지지선으로 바뀐다. - 지지선이란, 주가 그래프에서 주가파동의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직선이다. 지지선에서 가격이 지지되지 못하고 지지선을 하락 이탈하면, 기존의 지지선은 오히려 저항선으로 바뀌게 된다.
지지선 하향 이탈 -> 매도. 지지선은 저항선으로 바뀐다.
3. 추세선의 기울기를 이용한 매매방법
- 추세의 기울기가 종전의 추세보다 가팔라지는 경우 -> 조만간 추세 이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매도
- 추세의 기울기가 종전의 추세보다 완만해지는 경우 -> 조만간 추세의 기울기가 가팔라지는 급등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 매수
반응형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 용어 및 지식] MACD (0) | 2024.03.24 |
---|---|
[주식 - 용어 및 지식] 패턴 분석 (0) | 2024.03.24 |
[주식 - 용어 및 지식] 이동평균선 (0) | 2024.03.24 |
[주식 - 용어 및 지식] 차트 분석 - 봉차트 (0) | 2024.03.19 |
[주식 - 용어 및 지식] 기업의 가치분석 지표 (0) | 202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