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F

국내상장 미국 ETF 할까? 해외상장 ETF 할까? (S&P500, 나스닥100)

by 주식밀리언 2025. 4. 26.
반응형

미국 대표 지수에 투자하고 싶을 때, "국내상장 미국 ETF로 할까? 해외상장 ETF로 직접 투자할까?"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국내상장 미국 ETF의 경우, ISA계좌를 통해 투자하기 때문에 투자 수익을 거의 세금 없이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방법은 생각보다 차이가 꽤 크기 때문에, 투자 성향에 맞게 선택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각의 장단점을 정리해보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법이 유리한지 알아보겠습니다!


✅ 국내상장 미국 ETF란?

  • 국내 증권사(한국거래소)에서 원화로 매매하는 ETF를 말합니다.
  • 미국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삼지만, 매매는 국내에서 합니다.

✨ 대표 상품

상품명 지수 운용사 수수료
TIGER 미국S&P500 S&P500 미래에셋자산운용 0.09%
KODEX S&P500TR S&P500 삼성자산운용 0.07%
TIGER 미국나스닥100 나스닥100 미래에셋자산운용 0.07%
ACE 미국 나스닥 100 나스닥 100 한국투자신탁 0.07%

ETF Check - 국내 ETF 수익률 비교

장점

  • 환전 없이 원화로 매입/매도가 가능합니다.
  • 국내상장 미국 ETF는 세금혜택이 있는 ISA계좌, 연금저축, IRP 계좌에서 투자가 가능합니다.

단점

  • 총 보수(운용보수 + 기타 비용) 가 해외상장 ETF에 비해 약간 높습니다.  운영보수가 0.07~0.09%사이로 해외상장 ETF들에 비해서 높은 편입니다.

✅ 해외상장 ETF란?

  • 미국 증시에 직접 상장된 ETF를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달러로 직접 환전해서 해외 주식에 직접 투자합니다.

대표 상품

상품명 지수 티커 운용사 수수료
SPDR S&P500 ETF S&P500 SPY State Street 0.09%
Vanguard S&P500 ETF S&P500 VOO Vanguard 0.03%
iShares Core S&P500 S&P500 IVV BlackRock 0.03%
Invesco QQQ Trust 나스닥100 QQQ Invesco 0.20%

ETF Check - S&P 500 해외 ETF 수익률 비교

 

장점

  • 운용보수가 낮습니다. (보통 0.03%~0.09%)
  • 다양한 상품(레버리지, 고배당 등)을 골라 투자가 가능합니다. 대표상품에는 없지만 고배당 ETF(jepq, jepi)등에 직접 투자할 수 있습니다.

단점

  • 환전 수수료 부담됩니다. (보통 0.2~0.5%)
  • 연 250만원 초과 시 양도차익에 대해 22% 세금 부과됩니다.
  • 배당세는 15% 원천징수합니다.
  • 세금 신고를 해야합니다.
  • 세금 혜택을 누를수 있는 ISA, IRP 계좌에서 해외상장ETF는 투자가 불가능합니다. 해외 상장 ETF는 반드시 "해외주식가능" 계좌에서만 투자가 가능합니다.

해외 etf 투자시 세금 비교

국내상장 미국 ETF의 경우 ISA계좌로 투자가 가능하지만, 해외상장 ETF의 경우 ISA계좌로 투자가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둘이 정확히 어떻게 차이나는지 아래 표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좌 국내 상장 해외 ETF 해외 상장 ETF
투자 가능 계좌 일반 계좌 ISA 계좌 해외 직투 계좌
비과세 한도 X 일반형 500만원
서민형 1,000만원
연 250만원
매매차익  배당소득세 15.4% 초과 금액(만기해지시, 일반형: 500, 서민형: 1000만원) 9.9%의 분리과세 적용 양도소득세 22%(단, 250만원 공제)
분배금 배당소득세 15.4% 배당소득세 15.4%
손익통산* X O O
금융소득종합과세* 매매차익 O, 분배금 O ISA계좌 내에서 발생한 소득은 분리과세 되어 금융소득종합과세X 매매차익X 분배금 O

*손익 통산이란: 계좌 내에서 발생한 수익과 손실을 모두 반영하여 최종 순수익에만 세금을 매긴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A상품: 1000만원 수익, B상품 600만원 손실이 난 경우, 일반계좌의 경우 1000만원 X15.4% =154만원의 세금을 내야하지만, ISA계좌에서는 1000만원-600만원=400만원으로 합쳐서 초과금액을 넘지 않기때문에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 모든 사람이 다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종합과세 대상 금융소득이 기준금액(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 정리: 상황별 추천


상황추천 방법
매매가 귀찮고, 세금 신고도 싫다 국내상장 ETF
운용보수 아끼고, 장기투자에 집중하고 싶다 해외상장 ETF
원화로 편하게 사고 싶다 국내상장 ETF
다양한 상품을 고르고 싶다 해외상장 ETF

 


✨ 마무리

  • 장기 투자자라면 해외상장 ETF도 좋은 선택입니다.
  • 하지만 세금, 환전 등 신경 쓸 게 많다면, 국내상장 ETF로 편하게 투자하는 것도 충분히 좋은 방법입니다.
  • 특히 요즘은 국내에도 좋은 S&P500, 나스닥100 추종 ETF가 많아서, 국내 ETF로 시작해도 전혀 문제 없습니다!
반응형